본문 바로가기
기타/건강한 생활

입 벌릴 때 턱이 아프다면? 치과 vs 정형외과, 어디로 먼저 가야 할까?

by apple8425 2025. 6. 26.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입 벌릴 때 턱이 아프다면? 치과 vs 정형외과, 어디로 먼저 가야 할까? 사진

 

일상생활에서 갑자기 입을 벌릴 때 턱에서 통증이 느껴진다면 당황스럽고 불편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입을 다물고 있을 때는 전혀 괜찮지만, 입을 크게 벌릴 때나 음식을 씹을 때만 통증이 나타난다면 이 증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느 병원을 먼저 찾아야 하는지 고민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런 증상의 원인을 짚어보고, 치과와 정형외과 중 어떤 진료를 먼저 받아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입을 벌릴 때 턱이 아픈 이유는?

입을 벌릴 때만 통증이 발생한다는 점은 특정한 움직임에 따라 관절이나 주변 근육, 인대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턱관절 장애(측두하악관절장애, TMJ)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턱관절 장애입니다. 턱관절은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하며, 아래턱을 움직이는 데 사용됩니다. 이 관절에 무리가 가거나 염증, 디스크 변위 등이 생기면 입을 벌릴 때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특징
    • 입을 크게 벌릴 때만 통증
    • 입을 벌릴 때 ‘딱’ 소리가 나거나 걸리는 느낌
    • 오래 씹을 때 턱이 뻐근해짐
    • 턱이 잘 안 벌어지거나 좌우 비대칭

이 경우 대부분 치과(구강악안면외과) 진료가 우선입니다.

2. 턱 근육 과사용 혹은 긴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이갈이, 이악물기 등의 습관이 있을 경우, 턱 주변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근막통증증후군이 발생하여 입 벌릴 때만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증상 특징
    • 눌렀을 땐 아프지 않지만 움직일 때 통증
    • 입 벌릴 때만 찌릿한 느낌
    • 머리나 목으로 이어지는 긴장감

이런 경우에도 치과에서 원인 파악이 가능하며, 필요 시 물리치료나 스트레스 관리도 병행합니다.

3. 외상 후유증

과거 턱을 부딪혔거나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인해 턱 관절이나 근육에 손상이 있었던 경우, 시간이 지난 후 특정 움직임에서만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정형외과영상 진단을 통한 관절 상태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에는 치과에서 먼저 상태를 평가한 후 필요 시 정형외과로 연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치과 vs 정형외과, 어디를 먼저 가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입을 벌릴 때만 통증이 있고, 눌렀을 때 통증이 없다면 “치과(구강악안면외과)”를 먼저 방문하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입니다.

왜 치과가 먼저일까?

턱관절 문제는 구강 구조와 관절의 상호작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형외과보다는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가 초기 진료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과에서는 턱관절 장애, 교합 문제, 이갈이, 턱 디스크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영상 촬영(MRI, CT)도 진행합니다.

정형외과는 언제 가야 할까?

  • 턱 외의 다른 부위(목, 어깨, 등)까지 통증이 퍼질 때
  • 외상(낙상, 충돌) 이력이 있을 때
  • 턱 자체의 뼈 손상이 의심될 때
  • 이미 치과 치료를 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때

정형외과에서는 근육, 인대, 관절 구조에 대한 평가 및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진료 전에 확인해볼 점

병원을 방문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질문에 스스로 답해보면 원인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통증이 어느 부위에서 느껴지나요? (귀 앞? 뺨? 턱 아래?)
  • 입을 다물고 있을 때는 통증이 전혀 없나요?
  • 음식물을 씹을 때만 통증이 있나요, 말할 때도 있나요?
  • 최근 턱을 부딪힌 적이나 외상이 있었나요?
  • 평소 이갈이나 이를 꽉 물는 습관이 있나요?

이러한 정보들은 진료 시 의료진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결론: 입 벌릴 때만 아프다면 치과 진료부터!

입을 벌릴 때만 턱이 아프고, 누르거나 움직이지 않을 때는 통증이 없다면 치과, 특히 구강악안면외과 진료를 먼저 받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턱관절 이상이나 근육 긴장, 습관성 이갈이 등으로 인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필요 시 정형외과와 협진이 이뤄지기도 하며, 치과에서 영상 검사로 정밀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증상이 계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조속히 진료를 받아보세요. 작은 불편함이 만성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조기 대응이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cBf6WP